
인공호흡기 부작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한다면 걱정되는 부분이에요.
강제로 사람을 호흡하게끔 하는 기계이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죠.
제거를 제때 못하면 그에 따른 문제도 생길 수도 있다니 말이에요.
그만큼 인공호흡기 부작용, 그리고 그 원인에 대해서 자세하게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이에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인공호흡기 부작용
폐 손상
인공호흡기 부작용 첫번째, 폐 손상입니다.
인공호흡기는 결국 강제로 사람의 폐에 공기를 주입하는 의료기기에요.
그 과정에서 폐에 압력을 주게 되죠.
이 압력이 과도할 때 문제가 발생합니다.
과도한 압력이 폐포를 찢거나 과팽창하여 손상이 발생할 수 있죠.
이 손상은 기흉, 피하기종, 종격동기종 등으로 발전할 수도 있어요.
압력과는 다른 이유로도 폐 손상이 가능합니다.
바로 이산화탄소를 너무 과도하게 제거하는 것이죠.
이산화탄소의 과도한 제거는 산소와의 비율이 어긋나는 불균형을 초래합니다.
이는 산소독성을 일으켜서 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어요.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다음으로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입니다.
인공호흡기를 통한 감염이 일어날 때 발생합니다.
감염은 구강이나 코쪽의 분비물이 폐로 유입되어 일어날 확률이 높아요.
또한 인공호흡기를 장기간 사용하면서 관리가 미흡할수록 확률은 더욱 높아지구요.
꼼꼼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호흡근 약화 및 인공호흡기 의존성
호흡을 할때 사용되는 근육을 호흡근이라고 합니다.
근육을 사용하지 않으면 점차 약해지죠.
호흡근 역시도 사용하지 않으면 약해질 수 있어요.
인공호흡기 사용으로 인해 호흡을 대신해주며 호흡근의 사용이 줄어들게 되는것이죠.
너무 오랜 시간동안 사용하게 되면 인공호흡기 제거가 어려워지고 심리적으로도 생리적으로도 의존성이 심해질 수 있어요.
심혈관계 합병증
인공호흡기 종류 중 기계적 양압 환기는 흉강 내부의 압력을 높일 수 있어요.
압력이 높아지면 심장으로 혈액이 복귀하는걸 방해하죠.
이는 심박출량을 낮아지게 하고, 저혈압을 오게할 수 있어요.
이 현상은 높은 압력을 사용할 때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소화기계 합병증
인공호흡기를 통해 호흡기와 복부의 압력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위궤양과 장폐색을 발생시킬 수 있어요.
또한 인공호흡기 사용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위산 분비도 증가할 수 있죠.
인공호흡기 부작용 정리 표
부작용 | 주 원인과 설명 |
---|---|
폐손상 | 고압, 고용적 인공환기, 과도한 산소, 폐포 과팽창 등 |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 오염된 분비물의 흡인, 삽입관 관리 미흡 |
호흡기 약화/의존 | 장기간 호흡근 사용 감소 |
심혈관계 합병증 | 흉강 내의 압력이 상승>혈액복귀 방해, 심박출량 저하 |
위궤양, 장폐색 | 스트레스, 압력 변화로 인한 위장관 운동 저하 |
신경계 합병증(섬망) | 장기 치료, 진정제/진통제 부작용, 노령, 집중력 저하 |
기도 손상 | 기관내관 장기 삽입에 의한 점막의 압박, 궤양, 상처 |
혈전/근육 소모 | 부동, 근육 사용 저하 |
발관 위험 | 불편감, 환자의 흥분, 혼란 |
피부 손상 | 입술,피부의 장기간 압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