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바디 원리 썸네일
0 0
Read Time:1 Minute, 31 Second

인바디 원리.

인바디 원리 파헤치기

인바디 잘 쓰고 계신가요?

몸무게 뿐 아니라 팔, 다리, 몸통별로 근육량과 체지방까지 표시해줍니다.

덕분에 어떤 부위가 약점이고 강점인지도 잘 판별할 수 있죠.

요즘에는 헬스장에도 하나씩 있어서, 접근성도 좋구요.

이 인바디는 어떻게 우리 몸의 체지방과 근육량을 그렇게 자세하게 알아내는 걸까요?

오늘은 인바디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바디 원리

인바디는 전기를 사용해요.

측정할 때 따끔한, 전기가 오르는 느낌은 없었는데 이상하죠?

아주 미세한 교류 전류(800μA-1mA)를 사용해서 그래요.

너무 미세해서 느낌이 나지는 않죠.

이 교류 전류를 몸에 흘려주면 지방과 근육이 얼마나 있는지에 따라 전류가 원활하게 흐르는 정도가 달라집니다.

수분이 많을수록 전기가 잘 통하죠?

수분은 근육에 더 많아요.

즉, 근육이 많을수록 전기가 더 잘 흐르게 됩니다.

반대로 지방이 많다면 전기가 잘 안통하겠죠?

이렇게 전기가 잘 흐르지 않는 정도를 임피던스(저항+리액턴스)라고 해요.

이 임피던스를 부위별로 측정하면 몸의 성분을 알 수 있는 것이죠.

인바디 원리

인바디 원리 단계별 측정 과정

이제 단계별로 측정 과정을 살펴보죠

전극 착용 및 신원 정보 입력

위에서 인바디는 전류를 이용한다고 했죠?

그게 바로 인바디 측정 시 양말을 벗는 이유입니다.

피검자는 인바디의 전극에 접촉합니다.

양손, 양발의 엄지, 손바닥, 발바닥 총 8점의 접촉전극에 접촉한 후, 신장/연령/성별/체중 등의 정보를 입력해요.

교류 전류 인가 및 임피던스 측정

교류 전류를 다양한 주파수로 흘려줍니다.

주파수는 5,50,250kHz 대역을 주로 사용합니다.

양팔, 양다리, 몸통 등 각 부위별로 전압강하를 측정해 임피던스를 산출합니다.

다주파수, 부위별 분석

주파수 대역대 중 저주파에 해당하는 5kHz는 주로 세포외수분을 통과합니다.

고주파에 해당하는 250kHz는 세포내수분을 통과하구요.

덕분에 체수분 전체와 세포 내외의 수분 비율을 알 수 있습니다.

신호 처리 및 체성분 계산

측정된 임피던스 데이터를 마이크로컨트롤러로 전송하여 알고리즘을 통해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체지방 등 체성분을 식에 대입해 계산합니다.

이를 출력하고 프린트하여 그래프로 제공합니다.

인바디 시리즈 – 바이오파스타

인바디 완전정복

가정용 체지방계, 인바디처럼 정확할까? 사용 전 꼭 알아야 할 4가지

BMI 계산기 : BMI의 중요성과 건강관리

갤럭시워치 인바디(체성분) 운동 많이 할수록 부정확하다?

[체수분 검사] 몸의 수분량을 측정해 붓기를 확인하다

Happy
Happy
0 %
Sad
Sad
0 %
Excited
Excited
0 %
Sleepy
Sleepy
0 %
Angry
Angry
0 %
Surprise
Surprise
0 %
인바디 원리. 어떻게 근육량과 체지방을 분석?
태그:     

Average Rating

5 Star
0%
4 Star
0%
3 Star
0%
2 Star
0%
1 Star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