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소포화도 정확도
산소포화도 과연 정확할까요?
만약 정확하지 않다면 즉, 오차가 있다면 그 오차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오늘은 이 산소포화도의 정확도와 오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산소포화도 정확도
산소포화도 측정은 일반적으로 펄스 옥시미터로 합니다.
기기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정확도는 다음과 같아요.
SpO2 구간 | 오차 |
---|---|
85-100% | +-1~3% 이내 |
70-85% | +-2~3% 이내 |
SpO2가 90%가 안되는, 급격한 저산소증에서는 신뢰도가 더욱 떨어질 수있어요.
산소포화도 정확도 – 주된 오차의 원인
오차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말초 순환 상태
보통 산소포화도 측정할 때 손가락을 측정하죠?
그런데 만약 저혈압이거나 쇼크, 저체온, 승압제를 사용하는 경우 말초 혈관 순환이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걸 말초 저관류 상태라고 불러요.
이때는 손가락 측정값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신호를 제공하는 귓볼이나 이마로 산소포화도 측정이 이뤄져야 합니다.
환자 움직임
펄스 옥시미터를 장착한 상태에서 움직이게 되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요.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손가락, 손, 팔의 떨림이 신호에 직접적인 왜곡을 주죠.
이 왜곡을 동잡음(motion artifact)이라고 불러요.
동잡읍은 기저선의 변동과 데이터로스, 파형 왜곡을 일으키죠.
요즘 개발되는 펄스 옥시미터 에서는 이 동잡음을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탑재하고 있어요.
하지만 여전히 움직임이 많은 집단에서는 오차 위험이 큽니다.
기기 변수, 광학적 요인
LED 파장과, 포토 다이오드의 민감도, 센서의 고정력 등 기기를 구성하는 구성품에 의한 변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정확도에 직결되고, 별도로 임상 과정에서 오차를 수정하는 알고리즘을 찾아야합니다.
생리적 변수
피부의 색소와 인종 차이가 광투과와 광흡수에 미세하게 영향을 줄 수 있어요.
또한 심한 빈혈이나 저혈색소, 혈관수축, 다한증도 영향을 줄 수 있죠.
손톱의 두께 또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손톱이 너무 두껍거나 인조 손톱 등을 부착했을 때는 빛의 흡수와 반사를 왜곡시켜 부정확할 수 있어요.
환경적 요인
결국 산소포화도 측정은 빛을 이용합니다.
외부에서 더 강한 빛이 들어온다면, 센서에 영향을 줄 수 밖에 없죠.
때문에 너무 강한 실내 조명이나 직사광선은 광센서의 간섭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