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온계, 왜 정확하게 재야할까요?
체온은 건강 모니터링에 있어 기본이라서 그래요.
한번 같이 생각해봐요.
병원에 가면 일단 체온부터 측정하죠?
기본 중 기본이라서 그래요.
체온이 높다?
그럼 우리 몸에 무언가 일어나고 있는 걸 뜻해요.
뿐만 아니라 우리 몸은 열에 민감해요.
온도가 정상체온보다 높다?
피로나 어지럼증을 초래할 수 있고 실신이나 경련까지 일어날 수 있어요.
고온은 특히 아이, 노약자들에게 위험해요.
이들은 열을 저온 혹은 고온인 상황에서 정상체온으로 회복하는 능력이 성인에 비해 많이 떨어져요.
그래서 정확한 체온 측정이 중요하죠.
온도를 정확히 알아야 알맞은 조치를 할 수 있지 않겠어요?
측정이 잘못되면 너무 과도한 걱정을 하게 될 수도 있고, 정상 체온이 아닌데도 정상인 줄 알고 방심할 수도 있겠죠.
그래서 정확한 측정, 정확한 체온계 측정이 중요해요.
이제 어떤 체온계가 정확한지 장단점 비교하면서 설명드릴게요.
이마 체온계(비접촉식)
- 장점 : 빠르고 간편함. 비접촉식이라 위생적
- 단점 : 주변 온도, 이마 땀에 민감함
- 추천 상황 : 외래, 가정, 다수 측정
첫 번째로 이마 체온계입니다.
빠르고 간편하죠.
이마에 체온계를 가까이 하고 동작시키면 측정이 끝나요.
체온계랑 이마를 접촉할 필요도 없어요!
측정할 때마다 체온계를 세척하거나 소독할 필요도 없어지죠.
그 대신 단점이 하나 있어요.
정확도가 비교적 떨어진다는 겁니다.
치명적인 단점이죠?
앞머리가 없거나 이마를 까고 다닐수록 부정확해요.
주변 온도에 영향을 더 많이 받기 때문이에요.
바람이 많이 불거나 너무 춥거나, 너무 더울 때 이마는 영향을 많이 받아요.
대신 실내에서 측정하면 좀 더 정확해져요.
실내에서 다수를 빠르게 측정하고자 할 때 이마 체온계가만한 체온계가 없어요.
의외로 영유아들에게 사용하는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정확도가 높은것도 중요하지만, 일단 체온 측정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귀에 무언가 들어가거나 피부에 다른 물체가 닿으면 민감하게 반응하는 아기들도 있지요?
이런 아기들에게 좋은 대안이 바로 이마 체온계입니다.
귀 체온계(고막형/비접촉식)
- 장점 : 주위 온도 관계 없음. 비교적 정확함
- 단점 : 귀지가 많거나 방향이 어긋나면 오차 발생
- 추천 상황 : 가정용 / 6개월 이상 아이
보통 내과에서 많이 사용하는 체온계입니다.
귀에 체온계를 넣고 삐-소리가 난 적이 있을겁니다.
그게 바로 귀 체온계에요.
고막 근처 온도를 측정하는 방식이라, 실제 체온과 거의 같은 온도를 측정할 수 있어요.
단점이 있다면, 귀 속에 넣어야 해서 측정 할때마다 소독이 필요해요.
보통은 이 과정에서 알콜솜을 사용합니다.
고막쪽을 측정하는 방식이라 귀지가 많다면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어요.
다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보통 귀지가 말라있는 마른 귀지를 가진 사람들이 많아요.
과하게 뭉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측정값에 영향을 주기는 어려워요.
어떻게 보면 한국에 잘 맞는 체온계라고 볼 수 있어요!
겨드랑이 체온계(입 체온계 / 접촉식)
- 장점 : 익숙하고 높은 신뢰도
- 단점 : 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림, 측정 부위가 정확해야 함.
- 추천 상황 : 병원, 고정된 자세 유지가 가능한 성인
제일 크기가 작은 체온계에요.
그리고 앞선 두 체온계와는 별개로 접촉식 체온계죠.
귀 체온계도 접촉식이 아닌가? 귀에 닿지 않나? 라고 할 수 있어요.
하지만 귀 체온계는 적외선을 사용해 고막 쪽 온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해요.
측정 목표인 고막과는 접촉하지 않죠.
그래서 겨드랑이 체온계만 접촉식입니다.
가장 익숙한 형태를 하고 있고, 위생 관리만 한다면 입에 물고 측정하는 것이 제일 정확해요.
입에 무언가를 오랫동안 물고 있지 못하는 아이들이 많아 겨드랑이에 많이 사용되죠.
가장 정확한 체온계는?
정확도로만 따지면 겨드랑이 체온계(접촉식)를 입에 물고 측정하는게 제일 정확해요.
다음으로는 귀 체온계가 높은 정확도를 가지죠.
가장 부정확할 확률이 높은건, 이마 체온계입니다.
황별 추천 & 올바른 측정 팁
어린이: 귀 or 이마 / 성인: 겨드랑이 or 귀
공통 꿀팁: 측정 전 5~10분 안정, 땀 제거, 반복 측정 시 위치 동일
관련글 더보기
가정용 혈압계, 정확하게 측정하는 법 (이거 모르면 오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