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전증
0 0
Read Time:6 Minute, 48 Second

뇌전증이란?

뇌전증은 반복적이고 이유 없는 발작을 일으키는 뇌장애의 일종이다.

흔히 간질이라고도 부른다.

그리고 세계에서 4번째로 흔한 신경 질환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뇌전증 환자는 뇌의 전기적인 리듬이 불균형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발작이 반복된다.

뇌전증 증상

  • 일시적 혼란
  • 근육의 뻣뻣함
  • 몸이 굳어짐
  • 호흡 곤란
  • 통제 불가능한 팔과 다리의 움직임
  • 의식의 일시적 상실
  • 주위 소음이나 단어에 응답 불가
  • 빠른 안구 깜빡임
  • 심리적 불안 및 두려

뇌전증 환자의 대부분은 매번 동일한 종류의 발작을 일으키며, 증상 역시 매번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뇌전증 전조증상

몇몇 국소 발작(focal seizures)의 경우 발작 전, 전조증상의 신호가 나타나는 사람들이 있다.

전조증상은 배 속에서 느낌이 느껴질 수 있고, 두려움 등의 감정을 통해 느낄 수 있다.

몇몇 사람들은 데자뷰(기시감)를 느끼기도 한다.

이는 맛이나 냄새로 느껴지기도 하며, 급작스러운 섬광이 보인다거나, 특정한 형상이 보일 수도 있다.

어지럼증을 느끼거나 신체의 중심을 잃기도 한다.

이처럼 뇌전증의 전조증상은 명확한 외관의 변화가 아닌 뇌전증 환자 본인의 직감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개개인마다 느끼는 전조증상이 다르기도 하다.

뇌전증 발작 요인

주위 환경이 요인이 되어 뇌전증 환자에게 발작을 유발할 수 있다.

발작 트리거는 개인바다 다르기에 아래의 목록 중 일부 혹은 대다수가 해당될 수 있다.

  • 음주
  • 번쩍이는 섬광
  • 허용되지 않은 약물의 사용
  • 수면 부족
  • 발작 방지 약을 복용하지 않았거나, 남용하는 경우
  • 호르몬의 급격한 변화
  • 스트레스
  • 끼니를 거름
  • 탈수
  • 기타 질환

뇌전증 발작의 종류

뇌전증 발작의 종류는 크게 국소 발작과 전신 발작으로 나뉜다.

국소 발작(Focal seizures)

의식 유무에 따른 국소 발작의 분류

발작이 뇌의 한 부분에서만 일어나는 것처럼 보일 때, 이를 국소 발작이라고 부른다.

이런 발작은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 의식을 잃지 않는 국소 발작 : 단순 부분 발작이라고도 불리는 이 발작은 의식의 상실을 유발하지 않는다. 감정의 변화가 가능하고, 사물의 모양, 냄새, 맛 또는 소리를 느낄 수 있다. 몇몇 이들은 이 국소 발작이 발생할때, 혹은 직전 데자뷰를 경험하기도 한다. 이 유형의 발작은 팔이나 다리 등의 신체 부위가 비자발적으로 급격하게 움직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국소 발작은 따끔거림, 어지럼증, 섬광 경험 등의 감각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 의식을 잃는 국소 발작 : 복합 부분 발작이라고도 불리는 이 발작은 의식의 변화 혹은 상실을 유발한다. 이 유형의 발작은 꿈 속에 있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다. 의식 손상 중, 주위 환경에 반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손 비비기, 씹기, 삼키기, 원을 그리며 걷는 등의 반복적임 움직임을 행할수도 있다.

국소 발작은 편두통이나 기면증 혹은 정신 질환이나 신경 질환과 혼동될 수 있어, 철저한 검사가 필요하다.

부위에 따른 국소 발작의 분류

국소 발작의 유형은 뇌의 어떤 부위에서 일어나는지 나뉘며, 각 증상이 다르다.

  • 측두엽 발작 : 측두엽 발작은 뇌의 측두엽 부위에서 발작이 시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측두엽은 감정을 처리하고 단기 기억을 담당한다. 이 유형의 발작을 겪는 이들은 두려움이나 기쁨 등의 갑작스러운 감정의 변화, 데자뷰, 놀이기구를 탈때 처럼 뱃속 장기가 위로 상승하는 느낌 등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주변에 대한 인식을 잃을 수 있다. 발작이 일어나는 동안 외관상으로는 허공을 응시하거나, 본인의 입술을 때리거나, 반복적으로 삼키거나, 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다.
  • 전두엽 발작 : 전두엽 발작은 뇌의 앞, 전두엽 부위에서 발작이 시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전두엽은 신체의 움직임을 조절한다. 이 유형의 발작은 사람들이 머리와 눈을 한쪽으로 움직이게 한다. 말을 걸어도 반응하지 않고, 소리를 지르거나 웃을 수도 없다. 한 팔을 뻗고 다른 한 팔을 구부릴 수 있다. 또한 신체를 흔들거나 자전거 페달을 밟듯 반복적인 움직임을 취할 수 있다.
  • 후두엽 발작 : 후두엽 발작은 뇌의 뒤, 후두엽 부위에서 발작이 시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후두엽은 시각을 담당한다. 이 유형의 발작을 겪는 이들은 환각 증세를 보일 수 있다. 또는 발작 도중 시력의 일부 혹은 전부를 잃을 수 있다.

전신 발작(Generalized seizures)

뇌의 모든 영역에서 일어나는 발작을 일반적으로 전신 발작이라고 부른다.

전신 발작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소발작(Absense seizures) : 소발작은 일반적으로 어린아이들에게 발생한다. 증상으로는 작은 신체 움직임과 관계없이 허공을 응시한다. 눈 깜빡임과 입술을 때리는 동작이 포함될 수 있으며, 5-10초 정도 지속된다. 하루에 100번까지도 발생할 수 있으며, 잠시 의식을 잃을 수 있다.
  • 강직 발작(Tonic seizures) : 강직 발작은 근육을 경직시키고 의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등, 팔, 다리 등의 근육에 영향을 주어 땅에 넘어질 수 있다.
  • 무긴장 발작(Atonic seizures) : 무긴장 발작은 근육 조절 능력의 상실을 유발한다. 다리에 영향을 자주 미치고, 힘이 풀리기 때문에 급작스럽게 땅에 넘어질 수 있다.
  • 간대 발작(Clonic seizures) : 간대 발작은 반복되거나 리드미컬한 근육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 보통 목, 얼굴, 팔에 영향을 미친다.
  • 근간대 발작(Myclonic seizures) : 근간대 발작은 보통 짧은 경련으로 나타나며, 상체, 팔, 다리에 영향을 미친다.

뇌전증의 원인

  • 유전적 영향. 가족 중 뇌전증을 앓고 있는 이가 있다면 이를 의심해볼 수 있다. 특정 유전자가 뇌전증에 영향을 준다는 내용이 연구된 바 있다. 해당 유전자를 가진 경우 뇌전증이 발현될 수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대부분 유전자는 뇌전증 원인의 일부일 뿐이며, 특정 유전자는 발작을 유발하는 환경 조건에 더 민감하게 만들 수 있다.
  • 두부 외상. 자동차 사고 등에 의한 머리의 외상은 뇌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
  • 뇌의 요소. 뇌종양은 뇌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 뇌의 혈관이 형성되는 방식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는데, 동맥성 기형같은 혈관을 가진 사람들은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 35세 이상의 성인에게 뇌졸중은 뇌전증의 주요 원인이 된다.
  • 감염. 뇌수막염, 바이러스성 뇌염, 일부 기생충 감염은 뇌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
  • 임신 중의 부상. 태어나기 전, 아기들은 뇌 손상에 민감하다. 산모의 감염, 영양 부족, 산소 부족 등에 의해 뇌 손상 및 뇌전증이나 뇌성마비를 일으킬 수 있다.

치료 방법

뇌전증을 치료하는 방법은 크게 화학적 치료, 수술적 치료, 전기적 치료,식이 치료가 있다.

화학적 치료

약물을 통한 화학적 치료 방법이다.

뇌전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을 AEDs(Anti-epileptic drugs)라고 부른다.

가장 흔하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치료 방법이다.

발작을 앓고 있는 환자의 10에 7은 약물을 통한 화학적 치료로 통제가 가능하다.

정확하게는 AEDs를 사용하는 것은 뇌의 화학적인 레벨을 바꾸는 것이다.

이는 뇌전증의 치료보다는 발작의 발생을 멈추는 것에 가깝다.

화학적 치료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약물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발프로산/항간질제(sodium valproate)
  • 카르바마제핀(carbamazepine)
  • 라모트리진(lamotrigine)
  • 레비티라세탐(levetiracetam)
  • 토피라메이트(topiramate)

환자의 발작 종류에 따라 처방이 다르며, 환자의 나이, 임신 여부 등에 따라 사용하는 약물이 다르다.

약물의 형태는 타블렛, 캡슐, 액상, 시럽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대부분 매일 복용해야 한다.

적은 복용량부터 점차 복용량을 늘리는 형태로 발작이 조절되는지 볼 것이다.

만일 조절이 되지 않는다면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다른 방법을 찾아볼 수 있다.

뇌전증 약물치료의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 졸음
  • 에너지 부족
  • 두통
  • 불안
  • 머리카락 빠짐 혹은 원치 않은 곳의 발모
  • 잇몸의 부종
  • 발진

만일 발진이 생긴 경우 약에 심각한 반응을 보이는 것일 수 있어 담당 의사에게 문의해야 한다.

최근에는 CBD 오일 같은 의료용 대마 추출물을 뇌전증 치료에 보조적인 약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수술적 치료

뇌전증을 야기하는 뇌의 일부분을 제거하는 치료 방법이다.

약물을 통한 화확적 치료가 환자의 발작을 통제할 수 없고, 뇌의 일부분을 제거했을 때 심각한 영향이 없다고 테스트한 이후 실행 가능한 방법이다.

화학적 치료와 달리 영구적으로 완벽하게 발작을 멈출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는 치료 방법이기도 하다.

수술 전에는 뇌의 스캔, EEG를 통한 뇌파 분석 등이 이뤄질 수 있다.

수술 직후 즉각적으로 발작이 멈추지 않을 수 있기에, AEDs를 1-2년 정도 복용해야할 수 있다.

뇌전증의 수술적 치료의 부작용으로는 기억력, 감정, 시력 등에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이들은 대게 일시적이고 차차 호전될 가능성이 크다.

전기적 치료

전기적인 자극을 줄 수 있는 소형 전자기기를 체내에 이식하는 치료 방법이다.

이 치료 방법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미주신경자극술(VNS, vagus nerve stimulation)

미주신경 자극술은 페이스메이커처럼 작은 전기적 기기를 환자의 가슴 피부 안쪽에 삽입하는 치료이다.

미주신경자극술/출처:epilepsy society

화학적 치료도 수술 치료도 불가능하거나 효력이 없다고 판단될 때 시행된다.

기기의 와이어는 환자의 목 부분에 미주신경이라고 불리는 신경과 접촉한다.

와이어를 통해 본체에서 신경에 전기적 자극을 가할 수 있다.

미주신경자극기는 발작을 감지하거나, 환자가 발작의 전조증상을 느껴 리모컨을 통해 조작하면 동작한다.

작동한 미주신경자극기는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바꾸어, 발작의 강도를 낮춘다.

발작을 완전히 멈추는 것이 아닌 발작의 정도를 완화시켜 준다는 것이 다소 단점으로 느껴질 수 있다.

미주신경자극기를 사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10년을 주기로 배터리를 교체해주어야 하며, 교체는 수술을 필요로 한다.

뇌 심부 자극술(DBS, Deep brain stimulation)

뇌 심부 자극술은 미주신경자극술과 유사하다.

뇌심부자극술/출처:clevelandclinic

하지만 이식되는 뇌심부 자극기의 와이어는 뇌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뇌에 직접적으로 전기 자극이 가해지기 때문에 다소 위험을 동반한다.

뇌의 출혈이나 우울, 기억 관련 문제가 이에 해당된다.

https://biolog.tistory.com/105

식이 치료

다이어트 요법으로도 잘 알려진 키토제닉 요법을 이용한 치료 방법이다.

키토제닉은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적게 섭취하고, 많은 양의 지방을 섭취하는 방법이다.

어린아이들에게 키토제닉 요법은 뇌의 화확 레벨을 변화시켜 발작을 일으킬 가능성을 줄여줄 수 있다.

성인들에게는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아닌데, 이는 많은 지방 섭취가 당뇨병과 심혈관계 질환에 관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Happy
Happy
0 %
Sad
Sad
0 %
Excited
Excited
0 %
Sleepy
Sleepy
0 %
Angry
Angry
0 %
Surprise
Surprise
100 %
뇌전증에 대하여

Average Rating

5 Star
100%
4 Star
0%
3 Star
0%
2 Star
0%
1 Star
0%

2 thoughts on “뇌전증에 대하여

  1. 뇌전증에 대한 전조증상과 해결 방법에 대해 인상깊게 읽었습니다. 뇌 질병을 진단하는 장치 주제로 글을 올려주셔도 유익할 것 같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