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정용 체지방계, 어떻게 측정하나요?
가정용 체지방계는 대부분 BIA 방식을 이용해요.
BIA 방식은 Bio Impedance Analysis의 줄임말로 생체 전기 임피던스 방식이라고도 불려요.
생체 전기까지는 아실거에요.
임피던스는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의미해요.
즉, 생체 전기 임피던스는 ‘몸에 흐르는 전기를 방해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기본적인 원리라고 볼 수 있어요.
혹시 여러분은 몸의 80%가 물이라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 있나요?
그만큼 우리 몸에 수분이 가득한데, 수분이 많을수록 전기가 잘 통해요.
그런데 근육은 지방보다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죠.
만약 같은 몸무게인데 전기가 더 잘 통한다?
그럼 근육이 많은 사람이겠죠?
BIA 방식은 이렇게 체지방을 측정해요.

위는 BIA 방식을 사용하는 체지방 측정계입니다.
일반 체중계랑 모양은 비슷하죠?
대신 자세히 보면 금속 판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양 모서리에 하나씩 4개가 있는걸요.
저게 바로 전극입니다.
위에서 전기가 얼마나 잘 통하는지 보는 것을 체지방을 측정한다고 했죠?
그렇다면 우선 전기를 흘려줘야 하는데, 그 전기를 통하게 하는 것이 바로 저 전극이에요.
체중계랑 비슷한 모양이지만 기능은 다르다구요.
물론 체중 측정도 가능하답니다.
가정용 체지방계, 얼마나 정확할까?
인바디(병원용)과 가정용 체지방계의 차이부터 한번 볼까요?
이 둘 사이에는 보통 다중주파수와 단일주파수 사용의 차이가 있어요.
다중주파수를 사용할 때의 장점은 특정 근육을 판단하고 관찰할 수 있게 해줘요.
즉, 좀 더 근육과 지방 조직을 자세하게 세분화해서 수치를 알 수 있게 해주는 거랍니다.
이 방식을 채택하려면 많은 표본을 통한 알고리즘이 필요해요.
하지만 가정용 체지방계를 만들 때 이렇게 많은 표본을 모으기는 어렵죠.
그렇다고 가정용이 신뢰하지 못할만큼 부정확하냐?
그건 또 아니에요.
믿을만하고, 참고할만한 지표로 사용할 수 있어요.
대신 추천드리는 방식은 있습니다.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전극이 있는 모델입니다.
그걸 구매하셔야 상,하체 모두 측정이 가능해요.
발에만 전극이 있는 걸로 구매하시면 하체 위주로 측정되어 부정확할 확률이 크거든요.
정확하게 측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정확하게 측정하려면 공복 상태이고, 일정한 시간대가 좋아요.
물도 마시지 말아야 하죠.
조금 어려운 조건이죠?
하지만 이 모든 것을 충족시키는 시간대가 있어요.
바로 기상 직후.
마신 물도, 먹은 음식도 없는 시간이죠.
그리고 보통 여러분은 매일 비슷한 시간에 일어나시죠?
그래서 기상 직후가 제일 정확해요.
그리고 측정 팁이 하나 있어요.
바로 팔 겨드랑이를 살짝 띄우는 겁니다.
겨드랑이를 타고 전류가 흐를 수 있기 때문인데, 이렇게 하면 측정 값이 부정확해질 수 있어요.
겨드랑이가 닿지 않게 약간 띄우고 측정하세요.
이런 사람은 주의하세요!
- 페이스메이커 사용자(심장박동기)
- 임산부
- 체내 금속 삽입 환자
모두 BIA 방식이 미세한 전류를 사용하기 때문이에요.
페이스메이커 사용 시 미세 전류가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임산부 역시 마찬가지에요.
사용하지 않는 걸 권장드려요.
체내 금속 삽입 환자는 측정 값이 부정확할 확률이 높아서 측정 자체를 권장하지 않아요.
체지방계 시리즈
갤럭시워치 인바디(체성분) 운동 많이 할수록 부정확하다? https://biolog.tistory.com/130